아이스크림과 늑대(문학동네포에지020)
- 저자
- 이현승
- 출판사
- 문학동네
- 발행일
- 2021-03-30
- 사양
- 92쪽 | 130×224 | 무선
- ISBN
- 978-89-546-7779-0 03810
- 분야
- 시, 문학동네포에지
- 정가
- 10,000원
- 신간안내문
-
다운받기
-
도서소개
그리운 마음일 때 ‘I Miss You’라고 하는 것은 ‘내게서 당신이 빠져 있기(miss) 때문에 나는 충분한 존재가 될 수 없다’는 뜻이라는 게 소설가 쓰시마 유코의 아름다운 해석이다. 현재의 세계에는 틀림없이 결여가 있어서 우리는 언제나 무언가를 그리워한다. 한때 우리를 벅차게 했으나 이제는 읽을 수 없게 된 옛날의 시집을 되살리는 작업 또한 그 그리움의 일이다. 어떤 시집이 빠져 있는 한, 우리의 시는 충분해질 수 없다.
-
저자
2000년 『문학동네』를 통해 등단했다. 시집으로 『108번째 사내』 『언니에게』 『차가운 사탕들』 『어떤 사랑도 기록하지 말기를』 『여름만 있는 계절에 네가 왔다』가 있다.
-
목차
시인의 말
개정판 시인의 말
1부
지붕 위로 흘러가는 방 / 봄빛은 거미처럼 / 유적지 / 그녀가 사랑한 배관공 / 뚱뚱한 코끼리가 / 만선 / 홈쇼핑에서 염소를 주문하다 / 내 방에 사는 말 / 그녀들 / 아이는 정글짐을 탄다
2부
고궁에서 본 뱀 / 네게 향유를 / 매를 파는 노파 / 푸른 눈 / 낙타의 무덤 / 그 여자의 단두대 / 이 땅에서는 모두 얼굴이 없다 / 장마 / 재미있는 놀이 / 사진 / 집으로 가는 길 / 집 앞의 나무를 잘라낸 사내 / 거미줄 / 일식(日蝕) / 오후의 풍경 / 골목에서 축제를
3부
소녀와 달 / 내 몸을 빌려줄게 / 108번째 사내 / 나쁜 피 / 환풍기 / 화장(火葬) / 달 / 네크로폴리스 축구단 / 이제 아이들은 학교에 가지 않고 / 밀입국자 / 오피스걸 / 낮잠 / 담벼락, 장미넝쿨이 없는 / 터널을 지나며
4부
그 건물 뒤로 가본 적이 있다 / 겨울밤, 눈발 / 소년과 나무 / 어떤 통증 / 아버지의 작업 / 수장(水葬) / 방갈로의 연인들 / 여기, 공룡을 보아요 / 바람을 건너가고 있었다
-
편집자 리뷰
그리운 마음일 때 ‘I Miss You’라고 하는 것은 ‘내게서 당신이 빠져 있기(miss) 때문에 나는 충분한 존재가 될 수 없다’는 뜻이라는 게 소설가 쓰시마 유코의 아름다운 해석이다. 현재의 세계에는 틀림없이 결여가 있어서 우리는 언제나 무언가를 그리워한다. 한때 우리를 벅차게 했으나 이제는 읽을 수 없게 된 옛날의 시집을 되살리는 작업 또한 그 그리움의 일이다. 어떤 시집이 빠져 있는 한, 우리의 시는 충분해질 수 없다.
더 나아가 옛 시집을 복간하는 일은 한국 시문학사의 역동성이 드러나는 장을 여는 일이 될 수도 있다. 하나의 새로운 예술작품이 창조될 때 일어나는 일은 과거에 있었던 모든 예술작품에도 동시에 일어난다는 것이 시인 엘리엇의 오래된 말이다. 과거가 이룩해놓은 질서는 현재의 성취에 영향받아 다시 배치된다는 것이다. 우리는 현재의 빛에 의지해 어떤 과거를 선택할 것인가. 그렇게 시사(詩史)는 되돌아보며 전진한다.
이 일들을 문학동네는 이미 한 적이 있다. 1996년 11월 황동규, 마종기, 강은교의 청년기 시집들을 복간하며 ‘포에지 2000’ 시리즈가 시작됐다. “생이 덧없고 힘겨울 때 이따금 가슴으로 암송했던 시들, 이미 절판되어 오래된 명성으로만 만날 수 있었던 시들, 동시대를 대표하는 시인들의 젊은 날의 아름다운 연가(戀歌)가 여기 되살아납니다.” 당시로서는 드물고 귀했던 그 일을 우리는 이제 다시 시작해보려 한다.
문학동네포에지 2차분 리스트
011 김옥영 『어둠에 갇힌 불빛은 뜨겁다』
012 이문재 『내 젖은 구두 벗어 해에게 보여줄 때』
013 염명순 『꿈을 불어로 꾼 날은 슬프다』
014 안도현 『서울로 가는 전봉준』
015 정은숙 『비밀을 사랑한 이유』
016 조연호 『죽음에 이르는 계절』
017 김민정 『날으는 고슴도치 아가씨』
018 최갑수 『단 한 번의 사랑』
019 이영주 『108번째 사내』
020 이현승 『아이스크림과 늑대』
그리운 마음일 때 ‘I Miss You’라고 하는 것은 ‘내게서 당신이 빠져 있기(miss) 때문에 나는 충분한 존재가 될 수 없다’는 뜻이라는 게 소설가 쓰시마 유코의 아름다운 해석이다. 현재의 세계에는 틀림없이 결여가 있어서 우리는 언제나 무언가를 그리워한다. 한때 우리를 벅차게 했으나 이제는 읽을 수 없게 된 옛날의 시집을 되살리는 작업 또한 그 그리움의 일이다. 어떤 시집이 빠져 있는 한, 우리의 시는 충분해질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