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선비평전 |
 |
이성무 |
 |
글항아리 |
 |
2011년 11월 25일 발행 |
 |
18,500원 |
|
조선시대사 학계의 원로이자 당쟁사 연구의 권위자인 이성무 전 국사편찬위원장이 조선 5백년 정치지형 속에서 선비라는 존재의 의미를 종합적으로 읽어낸 『선비평전』을 펴냈다. 이 책의 특징은 조선을 대표하는 계급이자 이념이었던 선비를 처음부터 끝까지 "발가벗겨" 보여준다는 데 있다. 그간 선비에 관한 여러 저작들이 있었지만 "선비정신=대쪽정신"이라는 유산의 밝은 면을 통해 현실을 계몽하려는 입장의 책들, 수탈계급으로서의 존재와 망국책임 등을 타박하는 책들, 개별적 선비들의 선행과 비행을 에피소딕하게 소비하는 책들의 세 갈래로 나뉘어 그 ...
|
|
|
|
|
 |
역사 속 장애인은 어떻게 살았을까 |
 |
정창권 |
 |
글항아리 |
 |
2011년 11월 22일 발행 |
 |
29,800원 |
|
『역사 속 장애인은 어떻게 살았을까』는 고대 삼국에서 통일신라, 고려, 조선조 말기까지 2000여 년의 한국사, 그리고 역사와 문학, 회화, 음악, 법률, 풍속 등에 나타난 장애인 관련 기록들을 가능한 한 모두 수집한 것이다. 이로써 전근대 시대에 장애란 과연 무엇이었는지, 장애인 복지정책이나 단체는 어떠했는지, 각 유형별로 장애인들은 어떻게 살아왔는지, 장애인의 직업이나 관직은 어떤 것들이 있었는지, 왕족이나 여성 등 특수한 상황에 놓인 장애인의 삶은 어떠했는지, 유명한 장애 인물로는 누가 있었는지, 장애인 예술가의 세계는 어떠했...
|
|
|
|
|
 |
정조의 생각 |
 |
김문식 |
 |
글항아리 |
 |
2011년 11월 8일 발행 |
 |
15,500원 |
|
언행을 통해 겉으로 알려진 모습은 그 사람의 참된 모습을 표현하지 못할 때가 많다. 이것은 공인 중의 공인인 조선 국왕일수록 더하다. 조선 후기 국가와 학문의 부흥을 일으킨 군주로 평가되는 제22대 국왕 정조正祖(재위 1776~1800)는 세종과 더불어 "대왕"이라는 호칭이 자연스러운 군주다. 최근에는 각종 드라마와 수원 화성 등으로 우리에게 더욱 친숙하게 다가와 있는 군주이기도 하다.
이 책은 업적으로 포장되고 후세의 받들어 모심으로 추앙된 정조의 속 깊은 내면 읽으려고 한 시도이다. 20여 년 간 조선 후기의 지성사와 국왕 정...
|
|
|
|
|
 |
십자군 이야기 2 |
 |
시오노 나나미 |
 |
문학동네 |
 |
2011년 11월 3일 발행 |
 |
13,800원 |
|
이슬람 세력에 포위된 채 절대적인 병력 부족에 시달리는 십자군 국가의 운명은 위태롭기만 하다. 제2차 십자군이 결성되지만, 유럽의 황제와 왕 들이 원정에 참가했음에도 실패하고 만다.
이슬람의 영웅 살라딘이 지하드(성전)를 외치며 분열되었던 이슬람 세력을 결집해 십자군 국가를 압박해오기 시작하고, 나병에 걸린 젊은 예루살렘 왕 보두앵 4세는 종교 기사단의 힘을 결집해 이에 맞선다. 뒤바뀐 역사의 파도에 맞선 이들은 하틴 전투에서 운명적인 대결을 펼치는데……
|
|
|
|
|
 |
2천년 식물 탐구의 역사 |
 |
애너 파보르드 |
 |
글항아리 |
 |
2011년 11월 1일 발행 |
 |
38,000원 |
|
2천년 식물학의 역사를 흥미진진하게 탐험하고 여행한 인문교양서가 출간됐다. 2005년 영국에서 출간된 이 책 『2천년 식물 탐구의 역사』는 수많은 언론의 찬사를 받았으며 『데일리 텔레그래프』 "올해의 책"에 선정되는 등 영예를 안았다. 방대한 문헌연구와 광범위한 현장답사, 무엇보다 아리스토텔레스부터 테오프라스토스를 거쳐 린네까지 내려오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고 갈등관계에 있는 58명의 인물을 등장시켜 그들의 활약상을 사회문화적 역사 풍광과 아우르는 긴밀한 호흡 및 완벽한 문체는 단숨에 독자를 사로잡는다.
그간 국내에는 자원식물학, ...
|
|
|
|
|
 |
사르키 바트만 |
 |
레이철 홈스 |
 |
문학동네 |
 |
2011년 10월 10일 발행 |
 |
12,000원 |
|
"유럽의 인종주의는 그녀를 프랑켄슈타인 같은 괴물로 만들었다!"
제국주의 시대 인종주의 이데올로기가 극성을 부리던 19세기 초, 남아프리카 케이프타운을 떠난 스무 살 흑인여성 사르키 바트만은 "호덴토트의 비너스"라는 이름으로 런던 거리에 전시된다. 그리고 죽어서는 뇌와 생식기가 유리병에 담기고 전신이 박제된 채 프랑스 파리 자연사박물관에 진열된다. 그녀는 각고의 노력 끝에 200년이 다 되어서야 밀랍이 되어 귀향할 수 있었다. 그녀는 1789년에 태어나 2002년 감투스 강가 한적한 고향 산에 매장되었다.
가슴 아픈 이야기, 그...
|
|
|
|
|
 |
이미지의 삶과 죽음 |
 |
레지스 드브레 |
 |
글항아리 |
 |
2011년 10월 5일 발행 |
 |
25,000원 |
|
이 책은 프랑스 철학자이자 문인으로 새로운 인문학적 방법론인 "매개론mediology"을 제창한 레지스 드브레가 펴낸 Vie et mort de l´image(1992, 갈리마르)의 완역본이다. 체 게바라와 함께 혁명운동을 전개하다 수형 생활을 한 경력이 있는 레지스 드브레는 그러한 경력 때문에 더욱 의외로 여겨지는 이미지에 대한 매우 해박한 전문가이기도 하다. 영상을 비롯한 이미지가 지배하는 세상을 읽기 위한 도구로 매개론mediology이라는 인문학의 한 방법을 제안한 그는, 이 책은 "매개론의 방법론을 이미지에 적용한 첫 번...
|
|
|
|
|
 |
아시아는 세계다 |
 |
왕후이 |
 |
글항아리 |
 |
2011년 10월 5일 발행 |
 |
25,000원 |
|
『아시아는 세계다』(원제: 亞洲視野, 2010)! 이 도발적 제목의 책은 중국이 배출한 세계적인 사상가 왕후이汪暉(1959~)가 지난 15년간 쓴 논문을 묶어서 펴낸 책이다. 루쉰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그는 서평지 『독서讀書』의 주간으로 참여해 이 잡지를 중국 최고의 지성지로 키우면서 그 자신도 세계적 지성의 반열에 올랐다. 10년 전부터 한국에 소개되어온 그는 중국에서는 신좌파 논객으로 유명해졌지만, 한국에서는 백영서 등 창비 주도 동아시아 담론의 객원 플레이어로 조명되며, 새로운 "국경 없는 비판적 지식인 공동체"를 모색하는 ...
|
|
|
|
|